반응형

@ 그리고 : 오르

 

메 허르딘 커피 오르 짜이 삐나 훔

나는 매일 커피와 짜이를 마신다

 

나는 공부합니다. 그리고 음악을 듣습니다

메 뻐르나 훔, 오르 뮤직 순나 훔

 

그는 병원에 갑니다. 그리고 우체국에도 갑니다.

보 허스피탈 자나 헤 오르 포스트 오피스 비

 

- 오르의 다른 의미 : 더

당신은 더 필요하신가요?

꺄 압꼬 오우르 짜히예?

더 맛있을 겁니다.

스와드 오우르 바레가

더 좋은 것을 가져와라

오우르 앗차 왈라 라오

 

- 오르의 다른 의미 : 다른

다른 것을 보여주세요.

오우르 꾸츠 디카이예.

 

 

@ 그러나 : 레낀

 

미스터 김은 가세요. 그러나 당신은 가지마세요

미스터 김 자이예, 레낀 압 나 자이예

 

짜이 좋네. 그러나 조금 차네

짜이 아치 헤, 레낀 토리 탄디 헤

 

커피를 마셔라, 그러나 담배 피지마

커피 삐지예 레낀 씨가렛 마뜨 비지예

 

@ that 절 : 끼

 

나는 그의 집이 어디 있는지 안다.

무주꼬 말룸 헤 끼, 우스까 거르 까하 혜

 

그는 그녈 좋아한다고 말했어.

우스네 볼라 끼 우스꼬 보 바산드 헤

 

@ 그래서 : 쏘

시험이 어려워. 그래서 마니 공부해야 해

이그잼 무스낄 헤 쏘 버훗 뻐르나 짜이예.  

 

우리는 당신 좋아해 그래서 같이 공부하고 싶어

함꼬 압 빠산드 헤, 쏘 압께 싸트 뻐르나 짜이예.

 

@ 또는 : 야

신문이나 잡지를 가져와

아크바르 야 메거진 라이예

 

당신 또는 그가 와야 합니다.

압 야 우스꼬 아나 짜이예

 

@ 왜냐하면 : 꾜끼

수업을 할 수 없어요. 왜냐하면 선생님이 아파요

꺽샤 스루 네히 써크따 꾜끼 아디아빡 비마르 헤

 

 이거 드세요, 왜냐하면 몸에 좋아요

예 카이예 꾜끼 하마렐리예 아차 헤

 

@ 그러므로 : 이스리예

밖이 추워 그러니 안으로 가세요

바하르 탄다 헤, 이스리예 안더르 자이예

 

피곤했어, 그러니 잤어요

턱까 타, 이스리예 쏘나 짜이예 타

 

@ 만약 : 아거르

만약 그가 오면 그도 올 꺼야

아거르 보아나, 보 비 아에기

 

만약 피곤하면 잠을 자세요

아거르 턱까 헤, 쏘이예

 

@ 그러면 : 또

 

물이 나쁘면 마시지 마세요

빠니 카라브 헤, 또 나 삐지예

 

학교가 좋지 않으면, 다른 학교로 가세요.

스쿨 아차 네히, 또 두스라 스꿀 자이예

 

 

 

반응형
반응형

여격 : 동사의 행위를 받는 자리 또는 무엇을 받는 자리를 표현하는 격 (~에게)

 

여격 주어 : 주어 _ 여격후치사 (꼬) (주어에게)

 

여격 주어 구문

: 의미상 주어가 여격 후치사 꼬와 함꼐 사용 되는 구문

: 필요 , 예정, 필연, 지각, 인지 ,신체 상태, 감정 ,획득 등 다양한 표현

 

@ 사격

              단수       복수

1인칭     무즈        함

2인칭     뚜즈        뚬/압

3인칭    이쓰/우쓰   인/운

 

@ 목적격

              단수       복수

1인칭     무제        함멩

2인칭     뚜제        뚬헹/압꼬

3인칭    이쎄/우쎄   인헹/운헹

 

@ 짜히에 (필요하다) 구문

-여격주어 + 명사 + 짜히에 (필요하다)

나는 빵      과     우유가 필요하다.

무제 로띠 오우르 두두 짜히에

 

나는 아무것도 필요 없다

무제 꾸츠 네히 짜히에

 

- 여격주어 + 부정사(자동사) + 짜히에 (~해야한다)

나는 가야 한다

무제 자나 짜히에.

 

당신은 오지 말아야 한다.

압꼬 네히 아나 짜히에.

 

- 여격 주어 + 부정사(타동사) + 짜히에 (~해야한다)

나는 힌디어를 배워야 한다.

무제 힌디 씨크니 짜히에

 

우리는 일을 하지 말아야 한다.

하메 깜 네힝 까르나 짜히에.

 

- 여격 주어 + 명사(감정/신체상태 ) 호나 동사

나는 기쁨 니다.

무제 쿠쉬 해

너는 기뻐 하고 있다.

뚬헤 쿠쉬 해

 

그녀는 굷주리고 있다.

우쎼 부크 해

 

 

 

반응형
반응형

@ 현재 미완료 시제

: 현재 완료되지 않은 행동이나 상태

: 일상적인 행동(규칙적인 습관)

: 일반적 사실, 보편적 진리 등

 

나는 일을 한다 : 매 깜 까르따 훔

나는 아침 일찍 일어난다 : 매 수베흐 잘디 우트따 훔

꽃은 아름답다 : 풀 순다르 호따 해

 

@ 동사어간 + 미완료표지 (따/떼/띠) + 호나 동사 현재형

까르나 : (타동) ~ 하다

까르따(남성), 까르띠(여성), 까르떼 (복수)

 

@ 짜흐나 (원하다) 동사 

주어 + 명사/부정사 + 짜흐나 동사

 나는 물을 마시기를 원한다.

매 빠니 삐나 짜흐따 훔

 

우리는 음식을 먹기를 원한다

함 카나 카나 짜흐따 해

 

그녀는 일하기를 원한다.

웨흐 깜 까르나 짜흐따 해

 

@ 과거 미완료 시제 

동사 어간 + 미완료 표지 (타/테/티) + 호나 동사의 과거형 

까르나 : (타동) ~ 하다 

까르따 타(남성), 까르띠 티 (여성), 까르떼 테(남성 복수), 까르띠 팅 (여성 복수)

 

@ 현재 진행형 시제

: 현재 진행중인 행동

: 가까운 미래에 일너날 일

나는 일을 하고 있다 : 매 깜 까르 라하 훔

그녀가 올 것이다 : 웨흐 아 라히 해

 

[동사어간 + 진행형 표지(라하/라히/라헤) + 호나동사의 현재형] 

까르나 : (타동) ~하다

까르 라하(남) 까르 라히(여), 까르 라헤(남 복), 까르 라히 (여 복) 

 

@ 과거 진행형 시제

[동사어간 + 진행형 표지 (라하 타/라하테/ 라하티) + 헌동사의 과거형 

까르 라하 타 (남) 까르 라하 티 (여), 까르 라헤 테(남 복), 까르 라히 팅( 여복)

 

 

 

반응형

'India Region information > Hindi (힌디어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힌디어)  (0) 2023.02.11
여격 구문  (0) 2023.02.10
명령문 문법  (0) 2023.02.07
명사의 성, 수, 격 변화  (0) 2023.02.06
@ 형용사의 성, 수, 격의 변화  (0) 2023.0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