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현재 미완료 시제

: 현재 완료되지 않은 행동이나 상태

: 일상적인 행동(규칙적인 습관)

: 일반적 사실, 보편적 진리 등

 

나는 일을 한다 : 매 깜 까르따 훔

나는 아침 일찍 일어난다 : 매 수베흐 잘디 우트따 훔

꽃은 아름답다 : 풀 순다르 호따 해

 

@ 동사어간 + 미완료표지 (따/떼/띠) + 호나 동사 현재형

까르나 : (타동) ~ 하다

까르따(남성), 까르띠(여성), 까르떼 (복수)

 

@ 짜흐나 (원하다) 동사 

주어 + 명사/부정사 + 짜흐나 동사

 나는 물을 마시기를 원한다.

매 빠니 삐나 짜흐따 훔

 

우리는 음식을 먹기를 원한다

함 카나 카나 짜흐따 해

 

그녀는 일하기를 원한다.

웨흐 깜 까르나 짜흐따 해

 

@ 과거 미완료 시제 

동사 어간 + 미완료 표지 (타/테/티) + 호나 동사의 과거형 

까르나 : (타동) ~ 하다 

까르따 타(남성), 까르띠 티 (여성), 까르떼 테(남성 복수), 까르띠 팅 (여성 복수)

 

@ 현재 진행형 시제

: 현재 진행중인 행동

: 가까운 미래에 일너날 일

나는 일을 하고 있다 : 매 깜 까르 라하 훔

그녀가 올 것이다 : 웨흐 아 라히 해

 

[동사어간 + 진행형 표지(라하/라히/라헤) + 호나동사의 현재형] 

까르나 : (타동) ~하다

까르 라하(남) 까르 라히(여), 까르 라헤(남 복), 까르 라히 (여 복) 

 

@ 과거 진행형 시제

[동사어간 + 진행형 표지 (라하 타/라하테/ 라하티) + 헌동사의 과거형 

까르 라하 타 (남) 까르 라하 티 (여), 까르 라헤 테(남 복), 까르 라히 팅( 여복)

 

 

 

반응형

'India > Hindi (힌디어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속사 (힌디어)  (0) 2023.02.11
여격 구문  (0) 2023.02.10
명령문 문법  (0) 2023.02.07
명사의 성, 수, 격 변화  (0) 2023.02.06
@ 형용사의 성, 수, 격의 변화  (0) 2023.02.05
반응형

1. 뚜 + 동사어간

자나 (가다) : 자 : 뚜 자 (너 가)

아나 (오다) : 아 : 뚜 이다르 아 (너 이리로 와)

까르나(하다) : 까르 : 뚜 마뜨 까르 (너 하지마)

카나 (먹다) : 카 : 뚜 예흐 마뜨 카 (너 이거 먹어)

 

2. 뚬 + 동사어간 + 아오

자나(가다) : 자오 : 뚬 우다르 자오 (너 저쪽으로 가라)

아나(오다) : 아오 : 뚬 와바쓰 아오 (너 되돌아와라)

까르나(하다) : 까로 : 뚬 잘디 까로 (너 빨리 해라)

카나 (먹다) : 카오 : 뚬 예흐 마뜨 카오 (너 이거 먹지 마라)

 

삐나(마시다) : 삐오 : 뚬 빠니 삐오 (너 물을 마셔라)

추나(만지다) : 추오 : 뚬 마뜨 추오 (너 만지지 마라)

데나(주다) : 도 : 뚬 예흐 도 (너 이것을 주어라)

레나 (받다) : 로 : 뚬 웨흐 로 (너 저것을 받아라)

 

 

압(존칭) + 동사어간 + 지예

삐나(마시다) : 삐지예 (마시세요) : 압 빠니 삐지예 (당신 물 마시세요)

까르나(하다) : 끼지예 (하세요) : 압 나 끼지예 (당신 하지마세요)

데나 (주다) : 디지예 (주세요) : 압 예흐 디지예 (당신 이것을 주세요)

레나 (받다) : 리지예 (받으세요) : 압 웨흐 리지예 (당신 저것을 받으세요)

 

 

반응형
반응형

@ 명사의 성, 수, 격, 변화 - 남성명사

1. 아로 끝나는 남성명사

라르까 (소년)

           단수          복수

직격    라르까     라르께

사격     라르께    라르꽁

 

까므라 (방)

           단수          복수

직격    까므라     까므레

사격    까므레     까므레옹

 

꿋따 (개)

           단수          복수

직격    꿋따      꿋떼

사격     꿋떼     꿋뜨옹

 

꾸아 ㅇ (우물)

           단수          복수

직격    꾸아 ㅇ     꾸에 ㅇ

사격     꾸에 ㅇ    꾸오 ㅇ

 

2. 아 로 끝나지 않는 남성명사

가르 (집)

           단수          복수

직격    가르     가르

사격     가르    가로 ㅇ

 

도스뜨 (친구)

           단수          복수

직격    도스뜨     도스뜨

사격     도스뜨    도스똥

 

아크바르(신문)

           단수          복수

직격    아크바르   아크바르

사격     아크바르   아크바롱

 

아드미(사람)

           단수          복수

직격    아드미   아드미

사격     아드미   아드미용

 

@ 명사의 성, 수, 격, 변화 - 여성명사

1. 이, 이요로 끝나는 여성명사

 

라르끼 (소녀)

           단수          복수

직격    라르끼     라르끼양

사격     라르끼    라르끼용

 

니디 (강)

           단수          복수

직격    니디     니디양

사격    니디     니디용

 

가리 (차)

           단수          복수

직격    가리      가리양

사격    가리      가리용

 

찌리야 (새)

           단수          복수

직격    찌리야      찌리양

사격    찌리야      찌리용

 

스티띠 (상태)

           단수          복수

직격    스티띠      스티띠양

사격    스티띠      스티띠용

 

- 기타 형태로 끝나는 여성명사

 

메즈 (테이블)

           단수          복수

직격    메즈       메젱

사격    메즈       메종

 

마따 (어머니)

           단수          복수

직격    마따      마따행

사격    마따      마따훙

 

 

 

반응형
반응형

@ 형용사의 성, 수, 격의 변화

'아' '아아'로 끝나는 형용사 : 명사의 성, 수, 격에 일치

 

앗차 : (형) 좋은, (부) 좋게, (감) 음, 그럼, 자

단수 직격 남성 : 앗차

단수 사격 남성 : 앗체, 

복수 직격, 사격 남성 : 앗체

여성 단수/복수/ 직격/사격 : 앗치

 

좋은 소년 : 앗차 라르까

좋은 소년의 : 앗체 라르께 

좋은 소년들 : 앗체 라르께

좋은 소년들의 : 앗체 라르꽁

 

좋은 소녀, 좋은 소녀의, 좋은 소녀들, 좋은 소녀들의  : 앗치 라르끼

 

예외 : 바리야 (훌륭한) 진다 (살아있는) 뺴다 (생산된/태어난), 자~다 (많은), 쌀라나 (일년의), 로자나(매일의), 사르민다 (부끄러운) 등은 변화하지 않음. 

 

 

- 다야 (오른편의) 다야, 다에(사격, 복수), 다잉(여성)

- 바야(왼편의) 바야, 바에(사격, 복수), 바잉(여성)

 

- 티끄 (옳은), 남성, 여성, 단수,복수 모두 티끄 

 

@ 형용사의 용법

1. 관형적 용법

그는 좋은 소년 이다 : 웨흐 앗차 라르까 해 

그들은 좋은 소년들이다. : 웨 앗체 라르께 행 

나의 좋은 방에 : 메레 앗체 까므레 멩

 

2. 서술적 용법

그 소년은 착하다 : 웨흐 라르까 앗차 해

그 소년들은 착하다 : 웨 라르께 앗체 행

고빻은 씨따가 예쁘다고 느꼈다 : 고빨 꼬 시따 순다르 라기. 

반응형

'India > Hindi (힌디어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문 문법  (0) 2023.02.07
명사의 성, 수, 격 변화  (0) 2023.02.06
사격, 소유격, 목적격, 여격  (0) 2023.02.04
의문문, 의문사, 후치사  (0) 2023.02.03
주격(인칭대명사) 호나 동사  (0) 2023.02.02
반응형

1. 사격

단수 : 매 뚜 예흐/웨흐

          무즈, 뚜즈, 이쓰/우쓰

복수 : 함, 뚬/압, 예/웨

          함, 뚬/압, 인/운

 

우리에게 줘

: 하멩 예나

 

2. 목적격 : ~를

단수 : 매, 뚜, 예흐/웨흐

          무제, 뚜제, 이쎄/우쎄

복수 : 함, 뚬/압, 예/웨

          하멩, 뚬헹/압꼬, 인헹, 운헹 

 

- 나를 꺠워라 : 무제 우따나

- 이것을 먹어라 : 이쎄 카나

- 그것들을 먹어라 : 운헹 카나

 

3. 여격 : ~에게

단수 : 매, 뚜, 예흐/웨흐

          무즈꼬, 뚜즈꼬, 이쓰꼬/우쓰꼬

복수 : 함, 뚬/압, 예/웨

          함꼬, 뚬꼬/압꼬, 인꼬/운꼬

 

- 나에게 주어라

무즈꼬 데나

 

4. 소유격

단수 : 매, 뚜, 예흐/웨흐

         메라, 떼라, 이쓰까/우쓰까

복수 : 함, 뚬/압, 예/웨

          하마라, 뚬하라/압까, 인까/운까

 

*명사 + 소유격 후치사 까/께/끼

디빠 까 남 : 디빠의 이름

디빠 께 라르께 : 디빠의 아들들

디빠 끼 라르끼 : 디빠의 딸 

 

나는 아들 둘과 딸이 둘입니다.

매레 뚜 베때 오르 뚜 베띠앙 행

 

 

 

 

반응형
반응형

1. 일반의문문

까를 문장의 맨 앞에 사용하여 일반 의문문을 만든다.

꺄 압 티크 해? 당신은 잘 지내죠? Do you fine?

하(예), 네히(아니요)

항, 매 티끄 훔 : 네 잘 지냅니다.

네히, 매 티끄 네히 훔 : 아니요, 잘 못지냅니다.

 

2, 의문사 의문문

언제 (깝) 압 가르 깝 자떼 해? 집에 언제 가세요?

어디서 (까항) 압 까항 해? 당신은 어디니?

누가(꼬운) 압 꼬운 행? 당신은 누구니? 

무엇을 (꺄) 예흐 까 해? 이게 뭔가? 

어떻게 (깨쎄) 압 깨쎄 해? 당신은 어때?

왜 (꾱)

 

3. 후치사

1) 까께끼 : ~ 의 (소유격), 내 이름은 00이다. 메라 남 00 해

2) 꼬 : ~를 (목적격), ~에게 (여격), 00꼬 데크나, 00를 봐라

라르께 꼬 뺴사 데나, 소년에게 돈을 줘라.

3) 맹 : ~안에, ~데에 (처소격) 까므레 맹 메즈 해, 방에 책상이 있다

4) 빠르 : 위에, ~경우 (처소격) 매즈 빠르 끼따브 해, 책상 위에 책이 있다. 

5) 따끄 : ~까지, ~하는 한 : 야함 쎄 와항 따끄, 여기에서 저기까지.

6) 쎄 : 에서부터,~로부터(탈격),~때문에 (도구격) 

매 꼬리야 쎼 이야 훔 : 나는 한국에서 왔다.

매 버쓰 쎄 아따 후 : 나는 버스로 온다. 

반응형
반응형

@ 호나동사의 현재형

 

1. 단수

나 : 매 후

너 : 뚜 해

이것/이사람/이 : 예흐 해, 그것/그녀, 그 : 웨흐 해

 

2. 복수

우리 : 함 해

너희 : 뚬 호, (존칭) 너희 : 압 해

이것들/이분/이들 : 예 해, 저것들/그녀들, 그들 : 웨 해

 

@ 주어 + 형용사 + 호나동사

A. '아'로 끝나는 형용사

앗차 : (형) 좋은, (부) 좋게, (감) 음, 자, 그럼

 

1. 단수 남성

매 앗차 후

뚜 앗차 해

예흐/웨흐 앗차 해

2. 단수 여성

매 앗치 후

뚜 앗치해

예흐/웨흐 앗치 해

3. 복수 남성

함 앗체 해

뚬 앗체 호

압 앗체 해

예/웨 앗체 해

4. 복수 여성

함 앗치 해

뚬 앗체 호

압 앗치 해

예/웨 앗치 해

 

- 그 소년은 작다 : 예 라르까 초따

-당신(여성)은 어떻게 지내나요? : 뚜 깨싸 해?

 

B. '아'로 끝나지 않는 형용사

티끄 : (형) 옳은, 적당한, (부) 좋게 

티끄/티끄/티끄/티끄

1. 단수 남성=단수 여성

매 티끄 훔

뚜 티끄 해

예흐/웨흐 티끄 해

2. 복수 남성 = 복수 여성

함 티끄 해

뚬 티끄 해, 압 티끄 해

예 티끄 해, 웨 티끄 해

 

- 나는 바쁘다 : 매 뱌스뜨 훔 

- 이것은 예쁘니? : 예흐 순다르 꺄?

 

@ 주어 + 명사 + 호나 동사

라르까 : 소년, 라르끼 : 소녀, 라르께(남성복수), 라르끼양 (여성복수)

1. 단수 남성

매 라르까 훔

뚜 라르까 해

예흐/웨흐 라르까 해

2. 단수 여성

매 라르끼 훔

뚜 라르끼 해

예흐/웨흐 라르끼 해

3. 복수 남성

함 라르께 해

뚬 라르께 호, 압 라르께 해

예흐/웨흐 라르께 해

4. 복수 여성

함 라르끼양 해

뚬 라르끼양 호, 압 라르끼양 호

예 라르끼양 해, 웨 라르끼양 해.

 

메 비뜨야르띠 훔

나는 학생 이다.

 

뚜 비뜨야르띠 해

너는 학생이다.

 

압 비뜨야르띠 해

 

우리/그들 : 함/웨/붸.... 헹

주어와 동사를 매칭해서 써야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1. 표음문자 : 한글과 마찬가지로 표음문자인 데브나가리

 

2. 장, 단모음의 위치에 따라 딸라지는 의미

까암 : 일

깜 : 적은

 

까알 : 시대

깔 : 어제, 내일

 

2-1) 단어나 문장의 끝에서 장모음의 단모음화

앗차 : 좋은

꼬리야 : 한국

 

2-2) 단모음 아

단어끝에서 발음 생략

나마끄 : 소금

아암 : 망고

모음+자음 + 아 + 자음 +모음 에서 발음 생략

까므라 : 방

마뜰랍 : 의미

자음 + 아 + 흐에서 아는 짧은 '에' 발음 

예흐 : 이, 이것, 이사람

수베 흐 : 아침

 

3. 반모음 : 여 단어 끝에서 짧은 이 또는 짧은 에 발음

짜예 : 차

가예 : 암소

 

3-1) 반모음 : 바, 어 앞 또는 자음 뒤에서 W발음

다르와자 : 문

드와니 : 목소리

단어 끝에서 모음 '오' 또는 '우' 약한 발음

따나오 : 긴장

가우 : 마을

그외 'V'에 가까운 발음

뱐잔 : 자음

뿌르브 : 동쪽

 

 

반응형
반응형

1. 르를 제외한 모음에 초생달점이 붙어 비모음화한다.

아, 아, 이, 이,

1) 머릿줄 위에 모음이나 자음 부호가 나타나는 경우 점으로만 표기된다. 

끼, 끼이, 께에, 깨애, 꼬오, 꺼오오

 

2) 비모음

아앙구티 : 반지

아앙크 : 눈

쫜드 : 지구

무팔리 : 땅콩

패그나 : 던지다

까안따 : 포크

빠안쯔 : 숫자 5

간디 : 간디

우트 : 낙타

하즈나 : 웃다

 

3) 비자음 : 응어, 녀, 너, 너, 머

비자음 + 자음의 경우 선행하는 음절의 머릿줄 위에 점으로 표기 

빵카 : 선풍기

깐트 : 유리

안다 : 알

짠드러 : 달

깜발 : 담요

 

비자음이 연속적으로 사용되거나, 비자음 + 여,러,버,너,허의 경우 점으로 표기하지 않는다. 

왕마애 : 문학

아난나쓰 : 파인애플

아녀 : 다른

뚬하라 : 너의, 너희의

 

다음 자음의 같은 계열

인드라다뉴슈 : 무지개

안다 : 알

 

2. 눅따 : 오른쪽 하단부의 점

꺼, 커, 거 : 원래 연구개, 부드러운 입천장

눅따 + 꺼, 커, 거 : 목 더 안쪽에서 소리 남.

저 :

눅따 + 저 : 즈어

눅따 + 퍼 : 풔 (순치음)

 

다끄콰나 : 우체국

꾸뚜브 미나르 

지라푸 : 기린

사퐈르 : 청소

다르와좌 : 문

바좌르 : 시장

 

3. 어/오 : 

덕따르 : 의사

바스 스떱 : 버스 정류장 

꺼퓌 : 커피

풋벌 : 축구

덜러 : 달라

껄리즈 : 대학 컬리지

멀 : 몰

 

4. 비사르가 : 점 두개, 허 발음

아따하 : 그러므로

체흐 : 숫자 6

 

5. 아바그라하 : S자 모양, 

비사르가 + 아 : 아가

시바하마

마SSS 

 

6. 마침표 : 수직선

나마스떼 | : 안녕 |

 

꼬히 바뜨 나히 | : 천만에요 |

 

|| 마침표 두줄.

 

반응형
반응형

1. 모음 + 모음 : 그대로 이어서 표기

아 + 이 + 에 ; 아이에 (오십시오)

아 + 오 : 아오(오게)

구루 + 아니 : 구루아니 (여선생님, 사모님)

 

2. 자음 + 모음 : 모음 축약형

할 : 모음소거부호

꺼 : 꺼 + 할 ( 끄 )

 

1) 아 : 아무것도 없음

빠삐따 : 파파야, 바라뜨 : 인도

2) 장모음 아 : 

가예 : 암소,   시따르 : 인도 전통 현악기 중 하나

3) 단모음 이

히말라예 : 히말라야, 사흐끼르 : 자전거

4) 장모음  이

삐이일라 : 노란색, 빠니이 : 물

5) 단모음 우 : 

뿌쓰따 : 책, 르헤숙 : 마늘, 루쁘야 : 루피

6) 장모음 우

두우드 : 우유, 발루우 : 곰, 루우말 : 수건

7) 르모음

쁘라끄르뜨 :자연  흐르뎨 : 심장

8) 단모음 애

쉐르 : 사자, 절레비이 : 달콤한 과자

9) 장모음 애애

빼새 : 돈, 마뚜맬라 : 흙색

10) 단모음 오

모르 : 공작새, 반드고비 : 양배추

11) 장모음 오우

뽀우 :  묘목, 길로우나 : 장난감  

 

3. 자음 + 자음 : 복자음

1) 수직선이 있는 경우 : 수직선을 지운다

2) 수직선이 없는 경우 : 글자밑에 할(점)을 추가한다.

3) 그외 : 불규칙

 

1) 수직선이 있는 경우 : 수직선을 지워준다.

아차 : 좋은 

아뎌빠끄 : 선생님

다녀바드 : 고맙습니다.

뺘르 : 사랑

딜리 : 델리

도스뜨 : 친구

 

2) 수직선인 가운데 있는 경우

빠까 : 익은

하쁘따 : 일주일

 

3) 수직선이 없는 경우 : 글자밑에 할을 추가한다.

찌뛰 : 편지

하와이 아따 : 공항

비디얄래 : 학교

 

4) 불규칙 : 러 + 자음 : 뒤따르는 자음의 머릿줄 위에 추가 

까릐어 : 일

까르머짜리 : 회사원

 

5) 불규칙 : 자음 + 러 : 앞에 오는 자음 아래 추가

쩌끄러 : 바퀴, 원, 회전

써므드러 : 바다

쁘램 : 사랑

뜨럭 : 트럭

 

6) 불규칙 : 셔 + 자음 

니 스짜 예 : 결정

비 쉬바 쓰 : 믿음

쁘 라쉬 : 질문

쉬리 : 써, 님 

 

7) 불규칙 : 허 + 자음 : 뒤에 오는 자음을 밑에 쓰거나, 뒤에 오는 자음의 왼쪽 부분을 반쯤 지운 뒤 연결하기도 한다.

지후어 : 혀, 말

바흐여 : 밖의

브라흐만 : 브라만

 

8) 불규칙 : 자음 + 떠 : 선행하는 자음에 직선으로 끗기도 한다.

사크띠 : 힘

우따르 : 북쪽의

 

9) 그 외 : 두 자음이 만나 완전히 새로운 형태가 된다.

닥신 : 남쪽의 

비갼 : 과학

시뜨라 : 그림, 사진 

 

 

 

반응형

+ Recent posts